-
- [교수동정] 연기예술학과 이경성 교수 연출 <섬이야기> 제 2회 박효선 연극상 수상
- 연기예술학과 이경성 교수 연출 크리에이티브 VaQi의 <섬이야기> 제 2회 박효선 연극상 수상 우리대학 연기예술학과 이경성 교수가 창안하고 연출한 연극 <섬이야기>가 제 2회 박효선 연극상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최근 박효선연극상 운영위원회(공동위원장 김창우·오수성)와 (사)한국민족극협회는 심사를 거쳐 지정남의 <오월굿>과 함께 이 같이 결정했다. ‘박효선연극상’은 고(故) 박효선(1954~1998)의 시대정신을 기리기 위해 2022년 제정, 격년제로 수상하고 있는 상이다. 박효선은 5·18 광주민중항쟁 당시 도청 항쟁 지도부 홍보부장이었으며 5월을 다룬 ‘금희의 오월’, ‘청실홍실’, ‘모란꽃’ 등을 창작한 극작가이기도 하다. 이경성이 교수가 연출한 <섬이야기>는 2022년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에서 초연했던 작품이다. 생존자들의 증언과 영상, 배우들의 연기와 오브제를 통해 4·3사건과 국가폭력의 비극성을 초점화했다. 심사위원단(위원장 김소연 연극평론가)은 “심사 과정이 치열했으나 4·3 유족들의 증언을 직접 무대에 올리고 퍼포먼스적으로 재해석한 ‘섬이야기’, 전통적 굿의 전개를 따르면서도 날카로운 문제의식을 제기하는 ‘환생굿’ 두 작품 모두 의미가 있다”며 , "우리 시대의 연극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한 창작자들에게 감사드린다”고 평했다. 한편 지난 6월부터 진행한 이번 공모는 서울, 대구, 일본 등에서 총 26편 작품이 응모됐다. 시상식은 오는 21일(오후 3시) 민들레소극장에서 열리며 수상작 하이라이트를 무대화할 예정이다. 박효선과 들불야학, 전대연극반 활동을 함께했던 임철우 작가의 토크 ‘박효선과 나’도 마련된다. (박효선 연극상 운영위원회 보도자료 참조) 언론보도 https://www.chosun.com/culture-life/performance-arts/2024/09/11/2DULIODTUBFT5KOX26QVQO4NFU/?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112726639019136&mediaCodeNo=257&OutLnkChk=Y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40153&inflow=N https://www.munhak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6587 https://www.hani.co.kr/arti/culture/music/1158306.html
-
- 작성일 2024-09-13
- 조회수 578
-
- 예술대학 의상학과 우영미 동문 "도전은 숙명, 패션은 늘 새로워야"
-
- 작성일 2024-09-02
- 조회수 4
-
- MDF 패션디자인 공모전 수상, 정진규(의상 19) 학우
-
- 작성일 2024-08-19
- 조회수 0
-
- 무용학과, 호주 스테파니 레이크 컴퍼니와 서울국제공연예술제서 특별 협력 공연
- 무용학과, 호주 스테파니 레이크 컴퍼니와 서울국제공연예술제서 특별 협력 공연 무용학과는 호주의 유명 현대 무용 단체 스테파니 레이크 컴퍼니(Stephanie Lake Company) 그리고 김나이무브먼트컬렉티브(NKMC) 소속 무용수들과 함께 2024년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에서 최신작 '콜로서스(Colossus)'를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오는 10월 17일과 18일 서울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진행되며 현대 무용의 새로운 경지를 탐구하는 작품으로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콜로서스는 45명의 무용수가 참여하는 대규모 군무 작품으로 현대 사회에서 개인과 집단의 관계를 탐구한다. 이번 공연에서 우리 대학 무용학과 소속 학생들은 스테파니 레이크의 독창적인 안무를 완벽하게 소화하여 작품에 새로운 에너지를 불어넣을 예정이다. 이번 콜로서스 공연에서 성균관대학교 무용학과 학부생 및 대학원생 45명이 출연하며 무용학과 김나이 교수가 이번 국제 예술 교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울 코디네이터, 리허설 디렉터 및 통역 역할을 겸한다. 김나이 교수는 "이번 협업 공연은 단순한 기술적 참여를 넘어 한국과 호주를 잇는 중요한 문화적 교류로서 그 의미가 크다."며 "구성원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서울국제공연예술제 2024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는 세계 각국의 다양한 공연 예술 작품들을 소개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예술 축제로, 오는 2024년 10월 3일부터 27일까지 열린다. 올해는 특별히 국제적 협력 작품들이 주목받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콜로서스'는 한국의 젊은 예술가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그들만의 색깔을 선보일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 작성일 2024-08-14
- 조회수 833
-
- [성균웹진]동시대 미술이 선사하는 극한의 깊이와 파격, 자유로움 신제현 동문 (미술 02)
-
- 작성일 2024-08-01
- 조회수 0
-
- 연기예술학과 2024년도 대학혁신지원사업 GREP프로그램
- 2024년도 대학혁신지원사업 GREP프로그램 2024년도 대학혁신지원사업 GREP프로그램(책임교수 이경성)의 일환으로 성균관대 연기예술학과는 지난 7월1일부터 10일까지 런던 현지를 방문하였다. 이 기간동안 학생들은 웨스트앤드와 영국 네셔널 씨어터, 로얄센트럴스쿨 오브 스피치 앤 드라마 등을 방문하여 동시대 공연예술의 흐름과 경향을 직접 체험하고 공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참여학생들은 향후 연극, 뮤지컬, 연출/연기 관련 다양한 진로 및 유학경로를 탐색하고 돌아올 수 있었다. 한편 성균관대 연기예술학과는 2022년부터 매년 하계 글로벌학습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여 프랑스 아비뇽 연극제, 독일 세계연극제등 공연예술의 메카를 방문하여 학생들의 국제적 예술감각을 고취하는 현장교육을 이어가고 있다.
-
- 작성일 2024-07-26
- 조회수 780
-
- [학생실적] 의상학과 재학생 3명, 「제5회 MDF 패션디자인 장학 공모전」 수상
- 위에서부터 정진규, 김민재, 윤소연 학우 비영리 장학재단 엠디재단이 글로벌 시장에서 K-패션을 이끌 차세대 유망 디자이너를 발굴하는 「제5회 MDF 패션디자인 공모전」에서 본교 의상학과 정진규(19학번), 윤소연(19학번), 김민재(20학번)이 수상하였다. MDF 패션디자인 공모전은 국내 최대 규모의 장학금을 지원하는 패션디자인 컨테스트로, 매년 14명 내외의 수상자에게 해외 전시 견학 또는 최대 2년간의 등록금과 생활지원비를 지원한다. MDF 공모전은 최근 세계적으로 부상하고 있는 ‘지용킴’의 김지용 씨 등 학생들에게 귀감이 되는 패션디자이너를 배출해왔다. 이번 공모전에서 정진규 학생은 장학생으로 선정되어 연간 최대 1,000만 원을 지원받으며, 윤소연, 김민재 학생은 해외 패션전시 견학에 드는 500만 원을 지원받게 되었다. MDF 공모전은 총 3개월에 걸쳐 1차 디자인 포트폴리오 심사, 2차 실물제작 심사, 3차 메이킹 테스트 및 심층 면접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번 공모전에서 10:1의 경쟁률을 뚫고 본교 재학생들이 우수한 성적으로 수상하였다.
-
- 작성일 2024-07-22
- 조회수 731
-
- 성균관대-홍콩공연예술대, 무용 창작 워크숍 프로그램 개최
- 성균관대-홍콩공연예술대, 무용 창작 워크숍 프로그램 개최 무용학과(학과장 김나이)는 GREP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지난 2024년 1월 22일(월)부터 1월 26일(금) 5일간 홍콩공연예술대학교(The Hong Kong Academy for Performing Arts)를 방문하여 무용 창작 워크숍 프로그램(Faculty-Led Program)을 진행하였다. 이 프로그램에는 심사를 통해 선발된 10명의 성균관대학교 무용학과 학부생들과 12명의 홍콩공연예술대학교 학부생들이 함께 참여하였다. 워크숍 프로그램은 신체훈련, 즉흥 및 창작 수업으로 이뤄졌으며, 참가 학생들은 해당 프로그램의 주제인 ‘아시아 예술가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였다. 홍콩공연예술대학교 교수 Leila McMillan(레일라 맥밀란)의 지도 하에 학생들은 5일 동안 움직임을 고민하였고, 창작한 결과물을 1월 26일(금) 홍콩공연예술대학교 무용스튜디오에서 쇼케이스를 선보였다. 성균관대학교 X 홍콩공연예술대학교 무용 창작 워크숍 프로그램은 후속 작업으로 2024년 6월 24일(월)부터 28일(금)까지 우리 대학 무용학과에서 교류를 이어 나갔다. 5일간 진행된 프로그램은 무용학과 김나이 교수 지도 하에 신체 훈련, 즉흥 및 창작 수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신체 훈련을 위해 한국에서는 유일하게 성균관대학교에서만 배울 수 있는 Countertechnique(카운터테크닉)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즉흥 및 창작 수업에서는 '아시아 예술가의 정체성’에 보다 깊은 탐구를 진행하였다. 참가자들은 ‘창작 과정 공유 쇼케이스’를 6월 28일(금) 우리 대학 수선관 별관 무용스튜디오1에서 선보였으며, 프로그램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발표와 관객들의 질의 시간이 진행되었다. 김나이 교수는 "두 차례 한국과 홍콩, 서로의 나라에서 각 학교를 방문하며 얻은 경험은 다른 문화권을 가진 학생들의 움직임을 보고 정서적으로 교류하며 자신과 타인을 알아가고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가치 있는 시간"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무용학과는 학생들이 다른 문화권의 학생들과 교류하고 협업하며 자신의 가능성을 펼칠 수 있도록 다채로운 국제 교류 프로그램의 개발할 예정이다. ○ 무용 창작 워크숍 프로그램 스케치 영상(클릭)
-
- 작성일 2024-07-17
- 조회수 597
-
- 의상학과, Digital Runway: 2024 Virtual Fashion Showcase 발표
- 의상학과, Digital Runway: 2024 Virtual Fashion Showcase 발표 의상학과에서는 <3D패션디자인>과 <버추얼패션프로젝트> (지도교수 서유라 겸임교수, 서승희 교수)를 수강한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원생 19명과 학부생 13명이 제작한 32개 작품으로 가상 패션쇼 “Digital Runway: 2024 Virtual Fashion Showcase”를 발표하였다. 이번 가상 패션쇼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접근으로, 전통적인 패션쇼의 한계를 넘어선 새로운 형식이다. 학생들은 실제 의상을 제작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3D CLO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패턴 제작과 디자인을 구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Unreal Engine을 통해 현실감 있게 표현하였다. 특히, 가상 패션쇼를 통해 지속 가능성과 효율성을 강조하며, 물리적인 자원 소비 없이도 창의적인 디자인을 선보일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번 프로젝트는 학생들에게 디지털 프로그램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미래 패션 산업에서 요구되는 기술적 역량을 갖추게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의상학과는 이번 가상 패션쇼를 비롯하여, 앞으로도 디지털 패션의 선두주자로서 다양한 프로젝트와 연구를 통해 패션 산업의 미래를 선도할 계획이다. ○Digital Runway: 2024 Virtual Fashion Showcase 영상 보러가기(클릭)
-
- 작성일 2024-07-15
- 조회수 603
-
- [연기예술학과] 김종길 장학금 수여식 및 2024학년도 1학기 종강총회
- 성균관대학교 예술대학 연기예술학과 제1회 김종길 장학금 수여식 2024년 6월 20일(목) 18:30 성균관대학교 경영관 B1 원형극장 김종길 대표가 연기예술학과 장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직접 전달하였다. 그는 학생들에게 "체력이 떨어진 소환사(장학생들)에게 다시 일어나 체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체력 물약을 쥐어주고 싶었다."라고 온라인 게임 리그오브레전드의 상황에 빗대며, 너무 무겁지 않게 따뜻한 마음을 밝혔다.그의 선한 영향력이 장학생들 뿐만 아니라 연기예술학과의 모든 학생들에게도 전달되기를 바란다. 이날 김종길 장학금 수여식에는 김종길 대표와 형 김종영씨(DH테일 건설사 대표), 전노민 동문(연기예술 석사20, 연기자), 정지숙 예술대학장, 이경성 연기예술학과장, 김현희 전임교원, 윤용아 전임교원, 윤재호 전임교원과 연기예술학과 재학생들이 함께 참석하여 수여식을 더욱 빛내 주었다. 장학금 수혜자로는 이예진(대학원24), 정지수(학부22), 김경민(학부24) 총 세명의 학생이 수여 받게되었다. 한편, 이날 장학금 수여식 이후에는 연기예술학과 2024년도 1학기 종강을 맞아 학생회 주관으로 종강총회가 진행되었다. 연기예술학과는 하계방학 기간동안 연극제를 통해 다양한 공연 제작이 진행 될 예정이다.
-
- 작성일 2024-06-28
- 조회수 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