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용학과 김나이 교수, LG아트센터 U+스테이지 미국 MAP Fund 최초 수혜 무용공연 <Alone, naturally>
-
- 작성일 2023-03-15
- 조회수 2008
-
- 예술대학 미술학과 정연두 교수, 국립현대미술관 현대차 시리즈 작가 선정
- 예술대학 미술학과 정연두 교수, 국립현대미술관 현대차 시리즈 작가 선정 예술대학 미술학과 정연두 교수가 국립현대미술관이 선정하는 “MMCA 현대차 시리즈 2023” 작가로 선정되었다. “MMCA 현대차 시리즈”는 국립현대미술관이 주최하고 현대자동차가 후원하는 국내 대표 중진 작가 지원 프로그램이다. 미술학과 정연두 교수는 현실과 이미지, 실재와 환영,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질문을 던지는 작업을 펼쳐왔으며, 최근에는 이민, 이주, 전쟁, 재난 등 근현대사의 경험과 기억을 재구성해 사회와 역사적 층위를 들여다보는 방향으로 작품의 의미를 확장시켰다. 오는 9월부터 내년 2월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열리는 'MMCA 현대차 시리즈 2023'에서 정연두 교수는 영상 설치작 <백년 여행기>를 비롯해 신작 4점을 선보일 예정이다. 신작은 20세기 초 멕시코로 이주했던 한인 서사에서 출발해 오늘날 국가 간 경계를 넘나들며 이동하고 번역되는 존재의 의미를 조명한다.
-
- 작성일 2023-03-10
- 조회수 1908
-
- 영상학과, XR버추얼 공연제작과 AI콘텐츠 교육 융합 프로젝트 전시 개최
-
영상학과,
전시 개최 영상학과는 를 1월 9일부터 1월 12일까지, 총 4일간 인문사회과학캠퍼스 경영관 1층 성균갤러리에서 개최하였다. 는 산·학·연·관 교육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프로젝트 기반 교육 운영을 지원하는 창의융합인재육성 사업으로, 우리 대학 영상학과와 계원예술대학교 애니메이션과가 참여하였으며,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원캠퍼스 구축 운영 사업팀’이 주관하는 프로젝트이다. 우리 대학은 AI 교육과정(정규과정 4개, 비정규과정 5개, AI멘토링 및 자문과정)을 진행해 ‘AI를 활용한 영화 및 모바일 게임 제작’을, 계원예술대학교는 버추얼 교육과정(정규과정 4개, 비정규과정 4개, 버추얼 멘토링 및 자문과정)을 진행해 ‘모션캡쳐와 실시간 렌더 기술을 활용하는 버추얼 캐릭터 교육과 제작’을 주제로 프로젝트를 준비하였다. 이번 전시는 과제 수행 결과물을 선보이기 위한 자리로 참여 아티스트의 작품을 관람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최근 이슈로 떠오르는 AI, 메타버스, 실시간 렌더 등의 기술이 접목되어 기술과 예술의 융합을 한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모바일 게임 'Switch'와 '아르키마인드'가 전시되었다. 또한 심도 카메라를 이용한 체험형 인터렉티브 아트 '무해', 단편 영화 '피루엣'를 전시하였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다양한 작품 뿐만 아니라 학술대회에 논문 2편(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적 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모아 관계 중심의 가정용 VR소프트웨어, 선호도 높은 가상인간의 공통적 캐릭터 구성요소 분석)을 투고하기도 하였다 1월 9일에는 ‘XR버추얼 공연제작과 AI콘텐츠 교육 융합 프로젝트’의 오프닝 행사가 진행되었으며, 본식에서는 예술대학장 정지숙 교수, 전시를 총괄한 영상학과 이재준 교수 및 계원예술대학교 동그라미 교수를 비롯하여 영상학과 안상혁, 변혁, 이준희 교수와 각 학교의 참여 학생 아티스트가 자리를 빛냈다. -
- 작성일 2023-03-10
- 조회수 1952
-
- 디자인학과, '성균관대학로' 메타버스 발표회 및 시상식 개최
- 디자인학과, '성균관대학로' 메타버스 발표회 및 시상식 개최 디자인학과는 지난 12월 7일 경영관 계단강의실(33B101호)에서 디지털디자인스튜디오2(지도교수 구자준) 수업 발표회 및 시상식을 개최하였다. 이날 행사에서는 한 학기 동안 제작한 '성균관대학로' 메타버스에 대한 학우들의 발표와 시연이 있었으며 우수한 성과를 거둔 5개 팀을 시상하였다. 1위를 차지한 김지연, 강유민, 강지원, 김한샘, 유가호 학생은 창업지원단장상(대상)을 수상하였다. '성균관대학로'는 성균관대학교 정문에서부터 성대입구 사거리까지의 구간을 새로운 '브랜드'로 명명한 것으로, 구자준 교수는 "성균관로가 대학로에 비해 발전이 비교적 정체되어 있다는 점과 코로나 사태 이후 지역 상권이 침체를 겪고 있어 학교 주변 지역 및 상권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며 수업 기획 의도를 밝혔다. 특히, 실제 도시의 모방에 창작자의 상상을 가미한 메타버스 도시 구축이 활성화 되는 트렌드를 반영해, 메타버스 상에 현실과 가상을 혼합하여 ‘성균관대학로’를 기획하였다고 구 교수는 밝혔다. 학생들은 당해 거리공간을 4개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건물과 상점, 도로 환경 등을 컴퓨터그래픽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플랫폼 'ZEP' 상에 제작하였다. 건물주 혹은 상점주가 재현에 동의한 장소들은 의견을 청취하여 소개 및 홍보 콘텐츠를 삽입하였고 비어있는 상점 자리에는 학생들이 희망하는 가상의 상점 또는 시설 등을 새롭게 디자인하여 삽입하였다. 곳곳에는 퀴즈, 게임, 포토존 등과 같은 재미 요소도 설치되어 있다. 본 수업은 캠퍼스타운사업 지역연계 교과목이자 문제해결형 혁신수업으로 운영되어 수강생들의 메타버스 디자인 및 창업 역량 배양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해당 수업을 지도한 구자준 교수는 "작품들에 아직 개선할 점도 많이 보이지만 문제해결형 혁신수업의 취지에 걸맞게 팀워크를 발휘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둔 학생들이 무척 자랑스럽다."며 "거리의 리브랜딩를 통해 지역 이미지가 제고와 함께 학생들이 학교 앞 거리를 친근하고 흥미롭게 느끼게 되길 바라고 향후에는 상거래를 포함한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는 보다 높은 차원의 지역연계 메타버스 프로젝트가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 '성균관대학로' 메타버스: https://zep.us/play/yPbq07
-
- 작성일 2023-03-10
- 조회수 1586
-
- 무용학과 김경희 교수 <생각하는 몸, 발레하는 몸> 출간
- 무용학과 김경희 교수, <생각하는 몸, 발레하는 몸> 출간 무용학과 김경희 교수는 모든 발레 학습자가 사유(思惟)하는 몸으로 발레를 함으로써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생각하는 몸, 발레하는 몸>(성균관대학교 출판부)을 출간했다. 김경희 교수는 'BRACED' 즉, 호흡을 잘하여(Breathe), 긴장을 풀고(Relax), 몸의 정렬을 맞추어(Align), 잘 연결시키고(Connect), 잘 될 것이라고 믿으며(Expect), 춤을 춘다(Dance)면, 건강한 움직임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원리에 기반한 소매틱 발레의 보급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 교수의 저서는 총 4개의 챕터(▲소매틱 발레를 위한 최적의 티칭 전략 ▲’BRACED’원리에 기반한 ‘Somatic [Ballet] Dancing’ ▲소매틱 발레 수련의 핵심요소와 학습방법 ▲ 소매틱 발레의 교육적/치료적 혜택)로 구성되어 있다. 많은 사람들이 'Ballet'라고 하지만 모든 춤들이 그러하듯, Ballet가 'Somatic'이라 생각하는 김경희 교수는 "'발레'로 교육하고, '발레'로 치유하며, '발레'로 양생(養生)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고 출판 소감을 밝혔다.
-
- 작성일 2023-03-10
- 조회수 1488
-
- 이우영 예술학협동과정 박사 9월 동명대학교 조교수 임용
- 이우영 예술학협동과정 박사 9월 동명대학교 조교수 임용 우리대학 일반대학원 예술학협동과정 이우영 박사(예술학 전공)가 올해 9월자로 동명대학교 Do-ing학부 디지털공연예술 전공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이우영 박사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재)서울예술단에서 상임단원을 역임하고, 뮤지컬 제작, 대중/실용음악 관련 작곡, 음반 프로듀서로 20여년간 활동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본교 일반대학원 동양철학과(예술철학 전공)에서 2017년 8월 [餘音(Ambience) 미학 연구: 근대 음 체계와의 충돌을 중심으로](지도교수: 박상환)으로 석사학위를, 2021년 2월 예술학협동과정에서 [컴퓨터 사운드 존재론 연구: 푼크툼(punctum)의 음악학적 해석을 중심으로](지도교수: 김면)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우영 박사는 클래식과 재즈, 컴퓨터음악이라는 넓은 주제를 다루는 작곡, 편곡 작업을 담당해왔으며, 특히 가수 김범수, 빌리어코스티 등의 대중음악 음반에 참여한 바 있고, 최근에는 고전주의 음악의 즉흥미학과 현대적 해석을 함유한 모노클래즘(Monoclasm)의 피아니스트 및 음반 프로듀서로 활동했다. 동시에 국가 예술 정책 및 음악교육, 사운드 미학을 주제로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교수 사업등에 선정되어 학술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서울예술대학교, 한양여자대학교, 명지전문대학, 숭실대학교, 총신대학교 등에서 컴퓨터 음악 및 뮤지컬, 작곡 분야의 겸임 및 초빙 교수로 근무하며 교육활동을 담당했다. 이우영 박사는 "동양철학과 박상환 교수님과 예술학협동과정 김면 교수님의 지도아래 비판적이고 넓은 안목을 지닌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었다'며 '1인 미디어와 1인 프로듀싱 추세에 걸맞는 새로운 발돋움을 추진하는 동명대학교와 새로운 전공(디지털 공연예술학)의 내실을 위해 좀 더 심도 깊은 연구와 교육활동에 매진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
- 작성일 2023-03-10
- 조회수 1879
-
- 의상학과, 학과 창립 50주년 기념식 개최
- 의상학과, 학과 창립 50주년 기념식 개최 의상학과는 지난 9월 23일(금) 인문사회과학캠퍼스 수선관에서 신동렬 총장, 정지숙 예술대학학장, 황선진 의상학과 교수, 동문 및 재학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학과 창립 50주년 기념식을 가졌다. 이날 기념 행사에서는 의상학과 동문회에서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담은 발전기금을 전달하였다. 또한 한국인 최초 프랑스 패션조합 정회원에 선정되고 현재 세계적인 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는 디자이너 우영미(1983년 의상학과 졸업) 동문에게는 한국의 위상을 높인 공로를 인정하여 성균예술인상을 수여하는 뜻깊은 자리도 마련됐다. 50주년을 맞아 의상학과 9대 동문회장을 맡은 홍재희 동문(제이케이디자인랩 대표)는 “이번 기념식을 계기로 동문들이 함께 회고의 정을 나누는 뜻깊은 시간이 됐다”라며 “급변하는 패션 산업 환경에서 의상학과 동문들은 패션 문화를 주도하고 각계각층에서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고 바람직한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데 앞장설 것이다. 이번 50주년 행사가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는 터닝 포인트가 돼 더욱 발전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1971년에 개설한 의상학과는 지난 2021년에 50주년이 되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올해 기념 행사를 개최하게 됐다.
-
- 작성일 2023-03-10
- 조회수 1857
-
- 예술대학, 홍콩폴리텍대학교 디자인대학과 MOU 체결
- 예술대학, 홍콩폴리텍대학교 디자인대학과 MOU 체결 예술대학은 지난 1월 18일(수) 홍콩폴리텍대학교(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디자인대학과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정을 바탕으로 양교는 공동 캡스톤 수업 운영, 학술교류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홍콩폴리텍대학은 글로벌대학평가기관 QS가 발표한 2022 세계대학랭킹 66위이며, 특히 Art and Design 부문은 세계대학랭킹 16위로 디자인대학은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협정은 2023년 1월부터 2년간 지속되며, 양교 학술교류, 학생교류, 공동연구 등 상호 협력을 위한 다양한 범위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본 협정을 바탕으로, 예술대학 학생들은 2022 동계 계절학기 <창의융합캡스톤디자인> 수업을 통해 홍콩폴리텍대학을 방문하여 함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직접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향후 양교는 캡스톤 수업 교환 뿐 아니라 교환학생 등의 교류로 기관 협력 범위를 넓혀갈 예정이다.
-
- 작성일 2023-02-09
- 조회수 1887
-
- 예술대학 의상학과 2022 국제 버츄얼 패션작품 발표전 개최
- 예술대학 의상학과 2022 국제 버츄얼 패션작품 발표전 개최 의상학과는 GREP 사업의 일환으로 기술 기반의 패션산업 변화에 발맞추어 중국, 영국, 미국 소재의 대학교와 함께 온라인 가상 전시공간에서 실물 작품과 가상 착의 작품을 전시, 발표할 수 있는 사이트를 구축하였다. 참여 대학은 총 8개로 한국의 성균관대학교와 중국의 Donghua University, Fuzhou University, Hebei University of Sceience and Technology, Tsinghua University, Quanzhou Normal University, 미국의 Drexel Univeristy, 영국의 University of Leeds 이며, 총 35명의 학생이 참여했다. 이번 온라인 국제가상패션전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온라인 국제가상패션전: http://www.fashion-exhibition.com/internationalvirtualfashionpresentation
-
- 작성일 2023-01-18
- 조회수 1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