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Future, Grand Challenge

통합검색
닫기
통합검색
 

대학원과정

  • home
  • 대학원과정
  • 일반대학원
  • 미술학과
  • 교육과정

미술학과

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자기
학습
시간
영역 학위 이수
학년
비고 언어 개설
여부
ART4001 한국회화사특강 3 6 전공 학사/석사 1-4 - No
고구려 고분벽화에서부터 고려불화, 조선조의 산수화, 문인화, 도석인물화, 초상화, 민화 등을 장르별로 나누어서 그 양식상의 특징 및 의미내용을 고찰해봄으로써, 한국회화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ART4002 미술관실습연구 3 6 전공 학사/석사 Yes
미술관에서의 실습 경험을 통해 자신의 연구 능력을 함양하고 한국 미술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심화시키는 과목이다. 수강자는 특정 미술관이나 갤러리와의 협업 하에 전시, 교육, 행정, 작품 관리와 관련된 실질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ART5001 근대미술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국근대미술"의 역사적,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이해와 아울러 당시의 주도적 미술양식과 성격, 특히 서양화의 도입경위와 그 전개과정을 중점적으로 고찰한다.
ART5002 동서미술론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동양과 서양미술에 나타난 공통적 요소 및 대비점을 부각시켜봄으로써, "미술이란 무엇인가", "미술은 이를 산출한 인종, 민족적 기질, 풍토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ART5004 동양회화사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동양회화사, 특히 한자문화권에 속한 중국과 일본회화의 사적 흐름과 그 양식적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미술과의 공통성 및 차별성에 대한 인식을 도모한다.
ART5005 실기론세미나1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작품제작에 있어서 시작단게에서부터 마무리 과정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을 연구하며 작품의 비교분석과 기법의 다양한 시도를 통하여 작가의 새로운 정신적 세계의 표현언어를 개발토록 한다.
ART5006 실기론세미나2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작품제작에 있어서 시작단게에서부터 마무리 과정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을 연구하며 작품의 비교분석과 기법의 다양한 시도를 통하여 작가의 새로운 정신적 세계의 표현언어를 개발토록 한다.
ART5007 연구조사방법론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학생마다 특정주제를 선정하여 현장학습을 통해 조사벙법 연구를 행하는 수업이다. 박물관, 미술관, 화랑 등을 견학하면서, 한편으로는 이론적 기반을 다지고, 한편으로는 실제 작품에 대한 감상과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이론과 실제를 연결시키는 과목이다.
ART5008 예술사상연습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동양예술사상의 기반을 이루는 중국의 대표적인 화론서를 텍스트로 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특히 宗炳의 ""畵山水序""를 비롯하여, 수묵화의 발생문제, 蘇東坡 및 董基昌의 문인화론, 남북종론 등이 주요한 주제이다.
ART5009 작품분석세미나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미술사를 통하여 -ism의 변천에 의한 이론적 배경의 지식과 더불어 그 명작들의 작품의 분석적 방법을 익히고 자신의 작품을 스스로 분석, 비교하며 반성의 기회가 되도록 한다.
ART5010 작품연구1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체계적으로 연구된 작품에 대한 이해와 방법적인 분석을 구체화시켜 개성적인 미적 시각으로 작품을 전개시켜 작가로써의 방향을 모색케한다.
ART5011 작품연구2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고전에서 현대에 이르는 미학사의 변천에 촛점을 맞추어 예술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미학적 시각을 이해한다.
ART5012 작품연구3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연구된 작품의 여러가지 방법과 이론을 현대성과 전통성의 미에 접목시켜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이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ART5013 작품연구4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작품연구2의 과정을 더욱 심화하고 학생작품의 예술적 정당성을 확보하도록 유도함
ART5014 조형예술론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건축, 조각, 회화, 공예란 시각예술의 네 장르가 안고 있는 독특한 성격 및 각 장르간의 상관관계, 예술작품의 사회적 기능과 의의, 예술과 비예술간의 구별문제, 20세기 미술의 위기의식, 앞으로의 과제 등에 대한 윤곽을 잡아본다.
ART5015 중국미술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중국미술의 원류로부터 시작하여, 송, 원, 명, 청대에 이르는 중국미술의 사적 전개와 주요 미술가들의 화풍상의 특징 및 그 미술사적 의의에 대해 살펴본다.
ART5018 한국미술사학특강1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야나기 무네요시, 세끼노 등 일본학자들의 한국 미술관을 비롯하여, 맥퀸, 제켈, 괴퍼 등 구미학자들의 한국미술관, 그리고 고유섭, 최순우, 김원룡등 우리나라 학자들의 한국미술관을 검토해봄으로써 한국미술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ART5019 한국미술사학특강2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국미술사에 있어서 "불교미술"은 주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불교미술의 원류 및 그 이론적, 도상적 유형, 사상사적 배경 들을 기반으로 해서 삼국시대의 불교조각, 통일 신라시대의 석굴암조각, 고려시대의 불화 및 불상조각, 조선조의 탱화, 벽화 등에 대해 고찰을 한다.
ART5020 한국화론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한국미술을 이해하는 이론적 기반으로서의 한국화론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중국화론에 비해 한국화론은 질, 양에서 상당히 빈약한 실정이다. 초상화론, 인물화론, 산수화론, 화조영모화론, 민화론 등 장르별로 나누어 고찰해본다.
ART5021 현대미술론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현대미술의 시점을 어디에 둘 것인가하는 문제와 아울러, 현대미술의 전개과정, 각 장르간의 영역분리의 혼돈, 미개미술이나 원시미술의 영향문제, 예술과 기술간의 문제, 21세기 미술에 대한 전망문제 등을 살펴본다.
ART5022 현대미학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현대미학의 중심을 이루는 이론들, 이를테면 크로체미학,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적 접근법 등에 대해 고찰해보고, 오늘날 미학이 안고 있는 과제 특히 "예술학" 과의 공존문제 등을 살펴본다.
ART5023 현대회화론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20세기 이후의 제반 미술사조와 전개과정, 즉 다다와 초현실주의, 액션페인팅, 추상표현주의, 옵아트와 팝아트, 특히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의 대결구도를 점검해본다.
ART5024 회화창작1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표현활동을 통하여 재료, 화면 구조, 표현의 역사와 기법등의 연구를 하면서 개성적이고 독창적이며 한국적 표현 방법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연구한다.
ART5025 회화창작2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표현활동을 통하여 재료, 화면 구조, 표현의 역사와 기법등의 연구를 하면서 개성적이고 독창적이며 한국적 표현 방법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연구한다.
ART5026 서양회화사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원시시대 미술로부터, 이집트 미술, 그리스와 로마미술, 중세미술, 르네상스와 바로크미술, 로코코미술, 19세기와 20세기의 미술 가운데 매학기마다 한 두 시기를 선택하여 그 시대미술이 안고 있는 미술양식과 "예술정신"등을 조감해 본다.
ART5027 미술비평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미술비평"이란 분야의 역사적 전개를 더듬어 봄으로써, 이 장르가 안고 있는 여러 문제점을 검색해 본다. 즉 고전적 비평과 일상적 비평간의 논의점, 주목할만한 획기적인 비평작업의 문헌상의 검토등을 통하여 미술비평의 과제 등을 논의해 본다.
ART5028 미술사연습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미술사"가 안고 있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토픽별로 나누어 살펴본다. 미술의 원류, 미술의 사회적 기능, 문화사와 미술사, 미학 및 미술비평과 미술사와의 관계, 작가, 패트론, 미술사가와의 유기적 관련성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된다.
ART5030 회화기법연구1 3 6 전공 석사/박사 1-4
1-4
Yes
미술의 전통적인 기법들을 심도있게 분석하여 현대의 다양성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확장시킨다. 아울러 미술작품의 개인성과 사회성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한다.
ART5031 회화기법연구2 3 6 전공 석사/박사 1-4
1-4
- No
전통적 회화의 여러가지 기법을 심도있게 분석하고 현대의 다양성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나름대로의 기법을 독창성, 특수성, 보편성에 기반을 두고 제반 표현 기법들을 전개한다.
ART5033 미술읽기와쓰기 3 6 전공 석사/박사 - No
미술 전공 학생들의 텍스트 읽기와 쓰기 능력을 함양하는 과목이다. 수업은 국영문 텍스트의 독해와 분석, 글쓰기와 합평, 논문 작성의 방법을 습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